
사랑, 이 단어만큼 사람의 마음을 뒤흔들고, 수많은 예술작품과 문학의 주제가 된 것이 또 있을까요? 오늘은 처음 티스토리에 책리뷰를 하기 위해 고민하다가 알랭드 보통의 저서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를 읽고 느낀 점을 여러분과 나누고자 합니다. 이 책은 사랑에 대한 우리의 통념을 깊이 있게 탐구하며, 그 본질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공합니다.
몇 번을 읽으려고 시도 했지만 조금 보다가 말고 조금 보다가 말아서 저하고는 인연이 안되는 책인가 보다 생각도 했던 책입니다. 그러다 어떤 계기가 생겨서(여기서 밝힐 수는 없음) 이 책을 쭉 읽어 내려갔습니다.
사랑은 인간 경험에서 가장 복잡하고, 동시에 가장 숭고한 감정 중 하나입니다. 우리 모두는 사랑을 경험함으로써 기쁨과 슬픔을 동시에 맛보게 됩니다. 이러한 사랑의 복잡성과 아름다움을 깊이 있게 탐구한 책이 바로 알랭 드 보통의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입니다. 이 책은 사랑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새로운 차원으로 이끌며, 사랑하는 것과 사랑받는 것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합니다.
첫 번째로, Botton은 사랑을 개인의 선택으로 보지 않습니다. 우리가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은 종종 의식적인 결정을 넘어선, 우리의 내면 깊숙이 자리한 감정의 발현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사랑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이를 통제하려는 시도는 종종 헛됨을 알 수 있습니다. 사랑이라는 감정은 매우 복잡하며, 때로는 우리 자신조차 왜 누군가를 사랑하는지 설명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Botton은 이를 통해 사랑하는 마음을 비판하는 것이 얼마나 무의미한지를 강조합니다.
[내용 중 일부]
일단 한쪽이 관심을 잃기 시작하면, 다른 한쪽에서 그 과정을 막기 위하여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는 것 같다. 구애와 마찬가지로 터나는 일도 과묵이라는 담요 밑에서 고통을 겪는다. 의사소통체계자체가 붕괴되었다는 사실은 논의하기조차 힘들다. 그것은 양쪽 모두 그것을 복원하고 싶을 때만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사랑은 단순한 감정의 표현을 넘어서는 것입니다. Botton은 사랑이 개인의 책임을 넘어서는 영역에 속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사랑을 단지 선택의 문제로만 볼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사랑하는 감정은 우리의 의지를 넘어서서 생기는 것이며, 때로는 우리의 생각과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랑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은 사랑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더욱 깊게 만들어줍니다.
[내용 중 일부]
이렇게 되면 연인은 절망적인 상황에 빠진다. 정직한 대화는 짜증만 일으키고, 그것을 소생시키려다가 사랑만질식시킬 뿐이다. 연인은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짝에게 다시구애를 하려고 필사적인 노력을 하게되고, 그 결과 낭만적 테러리즘에 의존하게 된다.
세 번째로, "너를 더 이상 사랑할 수 없다"는 말의 무게와 의미에 대해 보통은 깊이 있게 다룹니다. 사랑의 감정이 변하거나 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은 우리 모두에게 어려운 현실입니다. 이는 우리가 사랑과 관계에 대해 가지고 있는 기대와 희망에 도전하는 것이며, 때로는 극복하기 어려운 심리적 장벽이 될 수 있습니다.
[내용 중 일부]
사랑의 보답을 받을 수 없게 되자 사랑을 받고 싶다는 오만이 생겨났다. 나는 내 욕망만 가지고 홀로 남았다. 무방비 상태에, 아무런 권리도 없이, 도덕률도 초월해서, 충격적일 정도로 어슬픈 요구만 손에 든 모습으로, 나를 사랑해다오! 무슨 이유때문에? 나에게는 흔히 써먹는 지질하고 빈약한 이유밖에 없었다. 내가 너를 사랑하니까...,
이 책에서 저에게 가장 공감하면서 와 닿았던 글을 마지막으로 옮기고 첫 포스팅을 마무리 하려고 합니다. 사랑에 고민 많은 분들은 읽어 보길 추천드립니다.
[내용 중 일부]
불안을 고백하고 싶은 충동을 느꼈으나, 그것을 말로 하면 정말로 그런 불안이 현실이 될 것 같았다.
생각의 자유를 실행에 옮기는 데는 악마들과 대면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진실을 정면으로 보지 않으려는 충동, 생각만 하지 않으면 불쾌한 진실은 존재하지 않을 것 같은 느낌
낙관적인 바보의 세계관처럼 그녀의 이야기는 바람직했고 믿을 만했다.
영원히 들어가 앉아 있고 싶은 따뜻한 목욕물 같았다.
나는 나의 가장깊은 감정적 갈망에 호소하는 허위의 능력에 유혹당하고 있었다.
'추천 도서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 2 (김혜남 저) (2) | 2024.04.12 |
---|---|
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 (김혜남 저) (0) | 2024.04.11 |
청소부 밥(토드 홉킨스, 레이 힐버트 지음 / 신윤경 옮김) (0) | 2024.04.09 |
리딩으로 리드하라 (이지성 저) (6) | 2024.04.07 |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 (히가시노 게이고) (2) | 2024.04.03 |